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담배연기 유해성분 및 냄새원인
    생활,건강/건강 2019. 2. 4. 22:01
    담배연기 유해성분
    일반화 하긴 어렵지만 대다수의 흡연자도 남이 피우는 담배 냄새는 싫습니다. 보통 흡연 후 10분이 지난 후 비흡연자와 접촉합시다. 흡연 후 10분간은 폐 안에 담배연기가 남아있기 때문입니다.


    담배를 피우지 않는다고 능사는 아니죠. 다른 사람이 피우는 담배 냄새가 싫은 까닭은 무엇일까요. 곰곰히 생각해보면 입냄새랑 섞여서 그런건 아닌지 공기와 접촉하면서 냄새가 변하는게 아닌지, 또는 기분 탓일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담배연기 냄새와 유해성분은 보통의 경우 주류연과 부류연의 차이로 보면 됩니다. 흡연자가 들어마시는 주류연과 담배에서 직접 흘러나오는 부류연의 차이를 아십니까?


    이것이 담배냄새, 유해성분의 차이를 일으키는지도 모르겠습니다. 특히 간접흡연과 관련해서는 굉장히 중요한 의미를 담고있지요.

    담배연기는 주류연과 부류연으로 나뉩니다. 부류연은 담배 끝에서 나오는 필터에 의해 걸러지지 않은 생연기를 뜻합니다. 주류연은 흡연자에 의해 담배 필터를 통해 한 번 걸러진 연기를 말합니다.

    담배연기 유해성분에는 몇 종의 발암물질은 주류연보다 부류연에 훨씬 짙은 농도로 존재하는데, 간접흡연자는 주류연보다 부류연에 더 많이 노출이 됩니다. 간접흡연의 85% 가 부류연, 15%가 주류연이기 때문입니다.

    담배연기 냄새 차이가 주류연과 주류연과 부류연의 차이에서 기인한다면 단순히 냄새만의 문제로 끝낼 것이 아닙니다.

    비흡연자 입장에서 담배연기는 그것이 주류연이든 부류연이든 불쾌한건 마찬가지이지만, 담배냄새로 인한 간접흡연이 필러로 걸러지지 않은 독성을 더 많이 포함한 부류연에 의한 것이라면 조심할 필요가 있을겁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